현재 router는 2개로 구성되어있고, post형식으로 data를 취한다.
첫 라우터의 경우
video url을 post로 가져와서 mediapipe를 수행 후 결과 data를 기반으로 smoothing으로 outlier를 잡고,
골프 7step을 검출한다.
(어드레스, 테이크어웨이, 하프, 탑, 임팩트, 팔로우스루, 피니쉬)
검출 후 각 구간 별로 스무딩을 다시 수행하고 json을 return한다. 이는 api server에서 return json을 db로 저장한다.
두 번째 라우터의 경우,
json data를 두 개 받아온다.
나의 영상과 프로 영상에 대해 비교를 하고 싶다면 각 각 해당하는 json data가 될 것이다.
데이터를 비교하고 각 step별로 무엇이 다른지 등등을 수행하고,
나와 프로가 어느 지점에서 다른지 등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이 라우터또한 return json을 주고, api server에서 가져가서 front로 쏴줘서 front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
실시간 동적으로 어떤 frame마다 data가 어떤식으로 바뀌는지, step이 어느 frame에서 잡히는지 등을
볼 수 있도록 한다.
'Project > golf_AI_Seriv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olf_AI_Service] library 정리 (0) | 2024.09.02 |
---|---|
[golf_AI_Service] 1차 마무리 성능 평가 (0) | 2024.08.05 |
[golf_AI_Service] 1차 마무리 (0) | 2024.04.01 |
[golf_AI_Service] 기능 (2) | 2023.11.26 |
[golf_AI_Service][lambda] 조금 더 자세한 내용 (0) | 2023.08.10 |